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수2

[자바스크립트(js)] let과 var 무엇을 쓸건인가? let과 var ECMAScript 2015(ES6)에서 도입된 let과 var 키워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스코프를 제어하는 방법의 차이를 가리킨다. let과 var은 같은 이름의 변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이지만, 변수를 특정 스코프 안에서 유효하게 생성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다. let let은 블록 스코프(block scope)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는 구문이다. 블록 스코프는 블록 내부의 스코프를 의미하며, 블록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중괄호 {} 로 구분한다. 따라서 let은 해당 블록 내부에서만 유효한 변수를 생성한다. 예시 function testLet() { let a = 10; if (a > 5) { let b = a * 2; console.log(b); //20 } consol.. 2023. 2. 10.
20140624_Java 기초 문법 1. 생성자 메서드 OverLoading- 클래스명으로 메서드 선언.- 객체생성과 동시에 초기값을 세팅.- defalt : parameter갯수 없음.- 생성자 Method OverLoading 시 디폴트 생성자를 선언해줘야함. 2. Static변수, Static Method- Static은 별도의 공간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 - 다른 클래스에서 호출* class명.static변수명* class명.staticMethod명();- Static Method를 생성자 메서드로 객체 생성가능 But Static 이 아닌 다른 메모리 영역에 할당 됨. 3. 추상 클래스, 추상 메서드- 추상 메서드 * 선언 abstract public void a();* 추상 클래스와 Interface에서만 선언가능.* Inter.. 2014. 6. 24.
반응형